실무 인재 25,000명 양성
바이오메디컬아티스트, 바이오데이터사이언티스트, 바이오AI엔지니어, 바이오빅데이터전문가, 바이오RA전문가, 바이오디지털연구개발자, 교육플랫폼개발자 등 미래 바이오 혁신 실무인재를 양성합니다.
미래의료, 디지털 공학,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을 융합-Reboot한 5D 교육과정 개발·지원을 통한 바이오헬스 분야 5가지 직무핵심역량이 함양·강화된 혁신인재를 배출합니다.
미래 바이오헬스 분야 혁신 S형 실무인재
생명과 환경을 존중하며, 지역사회와 인류에 공헌하려는 덕성
다양한 이해관계자, 타 학문 분야와의 소통을 토대로 바이오헬스 분야의 조화로운 발전에 기여하려는 능력
다양한 관점·생각, 빠르게 변하는 기술·트렌드에 민첩하고 유연하게 대응하는 능력
바이오헬스 분야에 대한 학술·실무적 이해를 토대로 발휘하는 창의적인 응용력
지속 가능한 윤리적 전문가가 되기 위하여 배우고 성찰하는 주도적 태도
미래 바이오헬스 실무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의 혁신 전략
전공과 무관한 학습 선택권·자율권 강화를 위한 교육과정의 영역별·수준별 모듈화
마이크로러닝을 통한 사전 전공 교육과정 탐색 선택
마이크로프로젝트 기반 문제 해결형 적용
전 교육과정 7개 대학 공동개발·운영
공유플랫폼 온라인 클라우드 LMS 구축 및 운영
증강형 교육 시스템 구축 및 운영
매주 금요일 '공유 Day'로 공유대학 공간 및 대학별 특성화 기자재 완전 공유
超 유연화 학사제도 확산→교류학점 확대, 공동학위제
온·오프 지역 격차를 넘어선 증강형 교육모델 → 5D-PBL, AR/VR 활용, 텔레프레즌스(홀로그램)
교육·학사 통합 공유플랫폼·e-코칭 (AI 기반 학습 코칭), LMS, 비트쉐어, 디지털 리빙랩
리빙랩을 통한 산·학·연·병 연계 현장실습 체계
데이터 기반 Agile 환류 체계 → 주기별 교육과정 모듈 관리, 온라인 박람회 개최, 교육·취업 성과물 완전 공유
공동활용대학·디지털 신기술 기반 바이오헬스 분야 재직자·일반 국민으로 확산→글로벌 경쟁력 강화
교육·연구·산학·취·창업 및 기타 분야별 성과 활용
미래 바이오헬스 실무 인재 양성을 위한 기반
전임 교수의 교육전담
외부전문가(산업체) 초빙 → 현장 일체형 교육 강화
지속적인 우수 교원 충원
교비 대응 자금 20억 원
교비 부담 지속적 확대
행정추진팀 정규직 발령 → 안정적인 사업 추진
학사제도의 超 유연화
성과기반 학점 인정제
이수학점 ∞제
자기설계 오픈 학기제
고가기자재·시설·HW·SW 등 인프라 공유
특성을 살린 거점화
사업단 시설 투자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