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 대학에 흩어져 있는 신기술 분야 교육 자원을 공동 활용하고 산업체·연구기관·학회·민간기관 등이 참여해 국가 수준의 핵심인재를 양성하는 협력체계를 구축
희망하는 학생은 누구가 참여할 수 있고, 대학은 핵심 공유 대학의 새로운 사업에 대한 신기술에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인재를 양성합니다
또한 산업체는 신기술 분야 핵심인재를 충원하고 재직자 재교육을 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기반 환자 맞춤형 신약 및 의료 서비스의 개발과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등 IT와의 융합 추세는 타 산업 분야 기업의 바이오 시장 진입을 가속화시키는 중이고 이러한 산업 변화는 기업 현장이 요구하는 직무역량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며 우리가 위치한 지금은 혁신과 변화를 준비해야 할 시대입니다
현장 밀착형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 협업
혁신 교육환경 물리적 인프라 구축·관리 총괄
혁신 S형 플랫폼 총괄관리
교육모델 개발·공유·확산
교육모델 관련 연구 수행
교육모델 성과 관리
학생역량진단 및 성과관리
학업성취도 진단 결과 모니터링
성과 평가 결과 환류·성과 확산
수강생 진로설계, 역량개발 및 취업지원
네트워킹 기반 멘토링 프로그램, 간담회, 채용상담 운영
취창업 관련 연구조사 기반 확립 (채용현황 조사, 진로의식조사)
학생서포터즈 운영지원, 소셜네트워크시스템 운영
국내외 산학연계 지원 및 관리
교류 협약 체결 담당
사업관련 과제 발굴
연구인력, 행정지원
사업단 내 주요 산학 물적/인적 자원연계(인턴쉽연계)
바이오헬스 분야 공유대학 사업단간 전문분과회 구성 및 대학별 강점 특성화를 연계한 교육과정개발, 인프라 공유 협력체계 구성 (디노베이션 : 단국대 주도, 디자인 : 홍익대, 단국대 주도, 디바이스 : 상명대, 우송대 주도, 데이터 : 대전대, 동의대 주도, 디지털 리빙랩 : 원광보건대, 우송대 주도 전체 대학 참여 교육과정 개발)
디지털 리빙랩 분야는 Transitioning Online to Offline(T-O2O) 교육 플랫폼을 온·오프라인 연계 시스템으로 기업/지역사회/병원의 오프라인 문제점을 온라인 강의 콘텐츠 학습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오프라인 실무/실습 수업 진행할 수 있도록 개발
대학별 강점화 특화별 바이오헬스 분야 실험장비, 연구소, 연구기기, 교육 기자재, 실습실 등의 공유와 신규구축 활용을 통한 교육의 질 향상
자체 플랫폼 내 AI 기반 교육과정 및 취창업 진로 안내 프로그램 연계확장 및 교육/학사관리제도 우수사례 공유 및 상호 협력 체계 구축
산학협력 인재 산업체 네트워크 연계로 지방대학 경쟁력 강화
- 거점지역단위 바이오헬스 분야 산업체 연계
- 바이오헬스 분야 지역 공공기관·학계·산업계 연계 융복합 지역인재 공동양성
- 지역별 우수인재 양성 및 지역산업체 협력을 통한 취창업 연계
대학별 5D 교육과정의 거점 개발·운영과 지역연계 가족회사와 산학연 네트워크를 공유
대학·지역 간 연계를 통한 지역사회 문제 및 의료 불균형 문제 해결
산·학·연·병 연계를 통한 바이오헬스 분야 산업 활성화 및 사회 공헌
바이오헬스 분야 국가교육경쟁력 제고
취업률 90% 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