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헬스 혁신공유대학

교육부 한국연구재단

INTRODUCTION

바이오헬스 혁신공유대학을 소개합니다

디지털 혁신공유대학이란?

2026년까지 수행되는 ‘한국판 뉴딜’의 신규과제

여러 대학에 흩어져 있는 신기술 분야 교육 자원을 공동 활용하고 산업체·연구기관·학회·민간기관 등이 참여해 국가 수준의 핵심인재를 양성하는 협력체계를 구축

희망하는 학생은 누구가 참여할 수 있고, 대학은 핵심 공유 대학의 새로운 사업에 대한 신기술에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인재를 양성합니다
또한 산업체는 신기술 분야 핵심인재를 충원하고 재직자 재교육을 할 수 있습니다.

바이오헬스 혁신공유대학

#의료서비스개발 #헬스케어 #IT융합

데이터 기반 환자 맞춤형 신약 및 의료 서비스의 개발과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등 IT와의 융합 추세는 타 산업 분야 기업의 바이오 시장 진입을 가속화시키는 중이고 이러한 산업 변화는 기업 현장이 요구하는 직무역량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며 우리가 위치한 지금은 혁신과 변화를 준비해야 할 시대입니다

미래 바이오헬스 혁신 인재 양성을 위한 공유플랫폼 구축과 운영을 위해 7개 대학의 사업단장 협의체 상시운영하고 주요 업무를 수행합니다.

사업단장
협의체 역할
대학별 사업계획 수립 및 협업·공유
혁신인재양성을 위한 교육모델 개발 및 산업체 발굴 협업
사업성과 공유 및 확산
인적교류 확산 전담부서 운영

바이오헬스 가족회사 협의체 운영

현장 밀착형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 협업

  • 현장실습
  • 기업연계형 캡스톤디자인
  • 문제 해결형 교육
  • 쌍방향 산학협력 내재화 및 고도화 추진

조직구성도

조직구성도

추진과제

교육과정 연계교류

바이오헬스 분야 공유대학 사업단간 전문분과회 구성 및 대학별 강점 특성화를 연계한 교육과정개발, 인프라 공유 협력체계 구성 (디노베이션 : 단국대 주도, 디자인 : 홍익대, 단국대 주도, 디바이스 : 상명대, 우송대 주도, 데이터 : 대전대, 동의대 주도, 디지털 리빙랩 : 원광보건대, 우송대 주도 전체 대학 참여 교육과정 개발)

디지털 리빙랩 분야는 Transitioning Online to Offline(T-O2O) 교육 플랫폼을 온·오프라인 연계 시스템으로 기업/지역사회/병원의 오프라인 문제점을 온라인 강의 콘텐츠 학습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오프라인 실무/실습 수업 진행할 수 있도록 개발

교육인프라 연계교류

대학별 강점화 특화별 바이오헬스 분야 실험장비, 연구소, 연구기기, 교육 기자재, 실습실 등의 공유와 신규구축 활용을 통한 교육의 질 향상

자체 플랫폼 내 AI 기반 교육과정 및 취창업 진로 안내 프로그램 연계확장 및 교육/학사관리제도 우수사례 공유 및 상호 협력 체계 구축

산학협력 연계교류

산학협력 인재 산업체 네트워크 연계로 지방대학 경쟁력 강화
- 거점지역단위 바이오헬스 분야 산업체 연계
- 바이오헬스 분야 지역 공공기관·학계·산업계 연계 융복합 지역인재 공동양성
- 지역별 우수인재 양성 및 지역산업체 협력을 통한 취창업 연계

협력체계

대학별 5D 교육과정의 거점 개발·운영과 지역연계 가족회사와 산학연 네트워크를 공유

  • 디지털리빙랩 지역 특화 및 대학간 산학연 공유 디지털리빙랩 지역 특화 및 대학간 산학연 공유
  • 단국대 구축 플랫폼 공유 단국대 구축 플랫폼 공유

기대효과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