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공유대학에서는 학생들의 학업 부담을 낮추고, 유연한 학습 참여를 지원하기 위해 온라인 수업에 기반을 둔 집중이수제를 도입하였으며 9월 말~12월 중 본인이 원하는 시점에 교과목별 기준(학점 15시간 이상)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수강할 수 있음
마이크로러닝은 bite-sized contents 즉, 학습 부담은 낮추고 학습 효과는 최대화하기 위해 콘텐츠를 매력적이고 효율적으로 제작하여 전문적인 교육이지만, 누구나 쉽게 따라올 수 있도록 반복 학습을 통해 충분히 전문 역량을 쌓을 수 있도록 교과목을 구성
혁신공유대학은 다양한 병원, 산업체, 연구기관과 함께하는 현장 실무형 교육과정을 개발 대부분의 수업은 원격으로 진행되지만, 실무역량 강화를 위한 실험·실습, 프로젝트형 수업은 대면 수업, 현장 방문, 인턴십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예정
바이오헬스·디지털헬스 분야 산·학·연·병 연계를 통한 디지털 바이오헬스 융합 전문가 양성
디지털 바이오헬스 핵심 및 직무 역량 기반 교육과정 개발, 운영
혁신공유대학 통합플랫폼 운영을 통한 온라인 이론 및 실습 강의 실시
집중이수제를 통한 탄력적 학사 운영
바이오헬스 디자인 전공, 바이오헬스 디바이스 전공, 바이오헬스 데이터 전공
3D 바이오 융합미디어 전문가 과정, 2D 바이오 일러스터 전문가 과정(이상 바이오헬스 디자인 전공) / 웨어러블 의료기기 전문가 과정, 실감형기기 전문가 과정, 휴먼헬스 전문가 과정(이상 바이오헬스 디바이스 전공) / 헬스케어 빅데이터 전문가 과정, 헬스케어 소프트웨어 전문가 과정(이상 바이오헬스 데이터 전공)
입학 계열 및 학과와 관계없이 바이오헬스 융합학부 내 융합전공으로 학위 이수 가능
바이오헬스 융합학부에서 교과목 이수 시 다전공 이수학점으로 인정
첫발을 내딛는 학생들을 위한 입문 과정이며 바이오헬스 분야 미래인재에게 요구되는 기초소양을 함양하는 과정
디노베이션(Denovation)은 Design과 Innovation의 합성어로 바이오헬스 분야 혁신을 위하여 진로를 설계하고 준비할 수 있도록 기획된 초급과정을 의미합니다.
바이오헬스 진로설계와 초급과정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바이오헬스 진로설계 과정은 마이크로러닝 형태의 콘텐츠를 자유롭게 수강하며 바이오헬스 신직업, 신산업, 트렌드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교과목
디노베이션과정을 모두 마친 학생들은 3가지 전공 중 하나를 선택 구체화된 진로 목표를 토대로 디자인, 디바이스, 데이터 중 자유롭게 선택 및 심화 교과목 수강을 통한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
2D·3D 영상화, 모델링을 통해 실감 현실(VR/AR/MR) 상황에서 건강 관리, 의료영상 분석, 의학 콘텐츠 제작, 영상화를 통한 의학 생리/병리현상 예측 등의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과정
디지털 리빙랩 교육과정은 다양한 병원, 산업체, 연구기관과 함께하는 현장실무 교육과정이며 리빙랩 프로젝트, 인턴십 등에 참여하면서 실무 역량 강화를 위한 현장 밀착형 문제 해결형 프로그램
디지털 리빙랩은 기업에서 제안한 혹은 지역사회의 바이오헬스 분야 관련 문제, 혁신 등을 프로젝트를 통해 해결하는 현장 밀착형 문제 해결형 프로그램을 의미합니다.
바이오헬스 혁신공유대학의 고급 교육과정은 모두 실무형, 현장 연계형 수업으로 진행되어서 리빙랩과정을 수강하는 모든 학생들은 병원, 헬스케어 유관 기관 및 기업에서 실무경험을 쌓을 수 있습니다.
디지털 바이오헬스분야 유망시장 현장 프로젝트, 리빙랩 프로젝트 등을 수행함으로써 사회적 가치를 실현, 지역 간 불균형 해소에 기여 및 팀 활동을 통한 상호소통역량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입니다.